몸 움직여 돈 벌고 자기 효능감도 높여
이용요금, 오토바이 퀵보다 저렴
區 내 이동은 1만원...천안 가면 3만원
무임승차 덕분에 이윤 남아... 연령 상향 될까 걱정
“손주 줄 용돈도 벌고, 안 가본 동네를 다니면 여행하는 느낌이라 재밌어요.”
26일 오후 지하철 4호선 평촌역에서 만난 전 모(71) 씨는 “지하철 에스컬레이터 고장이 잦아 계단을 오르락내리락 해야 할 때면 무릎이 아파 힘들다”면서도 실버 택배원으로 일할 수 있어 기쁘다고 말했다.
실버 택배는 고령층이 주로 지하철이나 버스 같은 대중교통을 타거나 도보로 택배를 운송하는 것을 말한다. 이용자 입장에선 요금이 오토바이 퀵서비스(20㎞ 기준 2만5000원)의 절반이고 도심이 꽉 막혀 오토바이나 차량 이동이 어려울 때 유용하다.
전 씨가 하루 최소 9시간을 일해 버는 돈은 적게는 2만원, 많게는 4만원대다. 많이 버는 날을 기준으로 시급을 계산해도 4800원에 그친다. 그러나 도심 곳곳을 누비며 직접 몸을 움직인 만큼 노동의 대가를 받을 수 있는 특성 덕분에 날로 경쟁자가 늘어난다. 은퇴 후 떨어진 자기 효능감을 높일 수 있는 데다 낮에 일할 수 있어 여성들에게도 인기가 좋다.
실버 택배원들의 최근 고민거리는 두 가지다. 하려는 사람이 많아지며 경쟁이 치열해졌고, 현재 만 65세 이상에 적용되는 지하철 무임승차 연령을 상향 조정해야 한다는 여론이 힘을 얻고 있다는 것이다. 실버 택배는 노임이 낮아도 지하철로만 이동하면 드는 비용이 제로(0)여서 이윤을 남길 수 있는 구조다.
지난 26일 지하철 실버택배원 전모(71)씨가 인천공항에 물건을 배달하고 있다/소가윤 기자◇ 자치구 내 이동은 1만원...천안까지 가면 3만원
전 씨는 포장마차를 운영하다 그만둔 뒤 일자리를 구하지 못하다 2년 전 실버 택배를 알게 됐다. 주 6일, 오전 9시 전에 사무실에 출근해 하루 평균 3건 정도의 택배를 운송하고 이르면 오후 7시, 늦으면 밤 11시에 퇴근한다.
실버 택배원들에게 지급되는 요금은 한 자치구 내에서 이동하면 1만~1만1000원, 다른 자치구로 이동하면 1만2000원에서 거리에 따라 1만8000원이다. 충남 천안까지 가면 3만원이다. 버스로 이동하면 버스비를 추가로 내야 하고 사무실에 30%의 수수료를 낸다.
전 씨는 이날 운 좋게 일이 4건이나 들어와 4만3400원을 벌었다. 손에 쥐는 돈을 늘리려면 시간과 이동요금을 최대한 절약해야 한다. 그는 “환승을 두 번 해야 할 때는 잘못 내릴까 봐 늘 긴장하고 있어야 한다”며 “주소가 헷갈리면 지하철 안에서 내내 지도 검색하면서 간다”고 말했다.
◇ 7시 출근해도 6명 기다리고 있어... 날로 경쟁자 늘어
이날 오전. 또 다른 실버 택배원 최 모(70) 씨의 휴대전화에 ‘띠링’ 하고 문자 알람이 울렸다. 광진구 구의역 근처 기공소에서 보철물을 받아 서대문구 가좌동 치과에 가져다주는 일을 하나 마무리했을 찰나였다.
문자를 본 최 씨의 얼굴이 환해졌다. 두 번째 택배 물건을 받으러 2호선 신대방역으로 이동하라는 사장의 지시였다. 1건을 마치면 오전 일과가 끝나는 일이 많은데 이날은 2건을 할 수 있게 됐다. 그는 지하철을 놓칠까 봐 계단을 뛰어 내려가면서도 “두 달에 한 번 있을까 말까 한 운수 좋은 날”이라며 웃었다.
최 씨는 이날 오전부터 오후 1시 30분까지 ▲2호선 구의역~남가좌동 ▲2호선 신대방역~3호선 신사역 ▲신분당선 청계산입구역~수인분당선 강남구청역을 종횡무진하며 오갔다. 5시간 동안 번 돈은 버스비와 수수료를 제외하고 2만3000원, 시급은 4660원이다.
그는 요즘 들어 일감이 줄어들까 봐 걱정이다. 이날 오전 7시 중구 을지로4가역에 있는 사무실에 출근했는데, 이미 6명이 택배를 기다리고 있었다. 출근 1시간 30분이 지나서야 첫번째 일감을 받았다. 경쟁자가 빠르게 늘어나는 것을 하루가 다르게 실감한다고 했다.
◇ 무임승차 덕분에 이윤 남는 구조... “일자리 없어질까” 걱정
이날 최 씨와 동행한 기자는 총 9600원의 지하철 요금을 냈다. 최 씨가 무임승차 대상이 아니었다면 버는 돈이 1만3700원으로 줄어든다. 실버 택배원들은 무임승차에 대한 부정적 여론을 알고 있고 이해도 하지만, 폐지될 경우 일자리가 사라져 생계 수단이 막막해질 것이라고 우려한다.
정부가 지하철 운영으로 인한 적자가 심각한 수준이라며 요금을 인상하겠다고 올해 초 발표하자, 일각에서 “무임승차 연령을 상향 조정하라”는 주장이 제기됐다. 오세훈 서울시장도 페이스북에 “사회적 논의를 시작해야 할 시점”이라는 의견을 냈다.
통계청에 따르면 국내 65세 이상 고령인구는 작년 900만명을 넘었다. 전체 인구(5163만명)에서 고령인구가 차지하는 비중은 17.5%로 곧 초고령사회(20% 이상)로 들어서게 된다. 1984년 중앙정부의 지시에 따라 노인에게 지하철 무임승차를 처음 제공했을 당시엔 노인층의 비율이 4%에 불과했다.
한국은행이 지난해 10월 발표한 ‘고령층 고용률 상승요인 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우리나라 60세 이상 고령층 취업자의 약 40%가 노동 빈곤층(working poor)에 속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생활비 부족과 같은 경제적인 요인 때문에 어쩔 수 없이 경제 활동을 하는 고령층이 많다는 의미다.
http://v.daum.net/v/20230530060135795
- 이전글 - 다음 달부터 4대 궁궐 내 ‘스몰웨딩 촬영’, 허가 없이 가능
- 다음글 - "아직 미성년자인데…" 영어 통번역사, 뉴진스 '쿠키'(Cookie) 가사 선정성 지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