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전병호목사의 교회이야기

1004와의 만남


기재부, 내년 경영평가에 임직원 연봉 평가

임원 연봉 반납, 직원 직무급제 도입 유도

고통분담·혁신 취지 밝혔지만 공공기관 난색

“지속가능한 임금체계, 사회적 대타협 필요”

[세종=이데일리 최훈길 원다연 기자] 공공기관 임직원 연봉을 놓고 논쟁이 불거질 전망이다. 정부가 내년에 공공기관 경영평가를 통해 임원들의 연봉 반납과 직원들에 대한 직무급제 도입을 유도하기로 했기 때문이다. 정부는 ‘코로나 무풍지대’에 있는 공공기관 임직원들이 고통을 분담하고 임금체계를 혁신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그러나 공공기관에서는 “공무원부터 솔선수범하라”며 반발하고 있어 진통이 불가피하다.



◇임원 임금 반납, 직원 직무급제 추진



30일 기획재정부에 따르면 정부는 지난 29일 공공기관운영위원회(공운위)에서 의결한 ‘2021년도 공공기관 경영평가편람’에 △코로나19 극복을 위한 임금 일부 반납 및 기부 등 코로나19 대응 노력과 성과 가점(3점) △직무 중심의 합리적 보수체계로의 전환을 위한 노력·성과 평가(비계량 2점)를 반영했다. 내년에 임원들은 임금을 일부 반납하고, 직원들은 호봉제에서 직무급제로 전환하도록 유도하겠다는 취지다.



......



공공기관 직원들 연봉도 작지 않다. 직원의 평균연봉(작년 12월 기준)은 공기업이 7942만원, 준정부기관이 6438만원, 기타공공기관이 6744만원을 기록했다. 대다수 공공기관이 근속연수에 따라 임금이 매년 자동으로 오르는 호봉제를 채택하고 있다.



이에 문재인 대통령은 지난 대선 후보 시절 “단순히 연공서열대로 급여가 올라가는 구조 역시 맞지 않다”며 임금체계 개편을 예고했다. 경영평가에 직무급 평가를 도입한 것도 이 때문이다. 박진 한국개발연구원(KDI) 국제정책대학원 교수는 “호봉제 체제에선 승진을 못해도 버티기만 하면 매년 임금이 올라간다”고 꼬집었다.



“경영평가 권고 넘어 사회적 대타협 필요”



노조는 직무급 도입이 사실상 임금 삭감이라며 반발하는 상황이다. 남태섭 한국노총 공공노련 정책실장은 “획일적으로 한 번에 직무급으로 전면 전환을 추진하는 것에 반대한다”고 말했다. 공공기관 내부에서는 “공무원부터 직무급을 도입하라”며 반발하는 상황이다. 현재 5급(사무관) 이상은 성과연봉제를, 6~9급은 호봉제를 적용받고 있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지속가능한 공공기관 임금 체계를 본격적으로 마련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최근 대통령 직속 사회적 대화 기구인 경제사회노동위원회(경사노위)도 직무급 도입을 권고했다. 경영평가 반영만으로는 부족하다는 지적이다.



경사노위 공공기관위원장을 맡은 이병훈 중앙대 사회학과 교수는 공공기관 임금 체계 개편과 관련해 “경영평가 반영을 넘어 사회적 대타협이 필요하다”며 “범정부 차원에서 조율해 공무원·공공기관·공무직 등 공공부문 전반의 임금개편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http://n.news.naver.com/article/018/0004818307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