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전병호목사의 교회이야기

1004와의 만남




원전을 둘러싼 논란,
그 배경에는 지방의 희생과 소외가 존재합니다.

값 싼 전기를 함께 쓰면서 위험 부담은
비수도권 주민들만 떠안아야 하는 게 현실입니다.

차라리 방폐장을 지역마다 하나씩 짓자라는
주장까지 나오는 이유가 여기에 있습니다.


지난 2014년, 경남 밀양.

송전탑 건설을 반대하던
주민이 목숨을 끊는 일까지 발생했습니다.

원전 전기를 수도권까지 끌어다 주기 위해
곳곳에 건설되는 초고압 송전탑이
지역사회를 극단적인 갈등상황으로 몰아갔습니다.

[이남우 / 밀양시 부북면 ( 2013.06 )]
"도회지는 다 땅으로 지중화 되어 있잖아요.
시골 사람이라고, 땅값 헐하다고 마구잡이로
계속 이러면 안 되잖아요."


...


원자력 발전 단가는
석탄의 절반, LNG의 1/3 수준으로 쌉니다.

서울의 전기 자급률은 불과 12.7%,
반면 부산은 212%, 경북 185%에 달합니다.

수도권은 값싼 전기를 가져다 쓸 뿐,
스스로 생산하지 않는다는 얘깁니다.

지난 10년 동안
지방에서 수도권으로 전기를 옮기느라
투입된 인프라 비용은 무려 2조 3천억 원에
달합니다.


....



해답 없는 핵 폐기물 처리 문제와
반복되는 지역 갈등.

보이지 않는 사회적 비용은,
원자력 발전이 과연 얼마나 효율적인 에너지인지
되묻고 있습니다.



http://busanmbc.co.kr/article/_WS7UL5O99rRW9Fa6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