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전병호목사의 교회이야기

1004와의 만남



http://news.v.daum.net/v/20220812172416782


시진핑 중국 주석이 지난달 말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과 통화하면서 미국과 전쟁을 할 의사가 없다는 메시지를 전달했다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이 11일(현지시간) 보도했다.


WSJ은 중국 당국 의사결정에 정통한 소식통을 인용해, 시 주석이 지난달 28일 바이든 대통령과 통화하면서 낸시 펠로시 하원의장의 대만 방문 시 불특정한 결과를 초래할 것이라고 경고하면서도, "지금은 전면적인 위기로 나아갈 때가 아니다"라며 "평화와 안정의 유지"를 강조했다고 전했다.


주미 중국대사관의 류펑위 대변인은 당시 통화에 대해 "시 주석은 대만 문제에 대한 중국의 원칙적 입장을 자세히 설명했다"고 말했다.


바이든 대통령은 시 주석에게 대만 문제와 관련해 미국 정부는 '하나의 중국' 정책을 고수하지만 입법부 소속인 미국 의원들은 대만을 방문할 권리가 있음을 분명히 한 것으로 알려졌다.


그리고 나흘 후 펠로시 의장은 대만행을 강행했고, 시 주석은 수개월 간의 외교적 노력에도 불구하고 펠로시 의장의 대만 방문을 막지 못한 데 좌절했다고 소식통은 귀띔했다.


중국 당국은 역사적으로 정상 간 교류에 신중을 기했으며, 특히 교류 후 상대국이 중국의 이익에 반하는 행동을 할 경우 체면을 잃을 것으로 우려해왔다. 또 중국은 펠로시 의장의 대만 방문 후 서방 고위 인사들의 대만행이 이어지면서 대만에서 독립 분위기가 조성될 것을 우려하고 있다.


결국 펠로시 의장이 대만을 떠난 뒤 중국은 며칠 동안 대만을 봉쇄하는 대규모 군사훈련을 벌이며 무력시위를 벌였고 대만에 경제제재를 부과했으며 미국과 기후문제 등에서 협력을 중단하는 등 강력 대응에 나섰다. 그러나 중국 지도부는 이 같은 대응 역시 단호하되 미국과 그 동맹의 연쇄 대응을 촉발하지 않을 정도로 수위를 조절한 것으로 전해졌다.


그 이유는 시 주석이 올해 3연임을 결정할 공산당 전당대회를 앞두고 있기 때문이다. 새로운 위기가 생길 경우 당내 저항이 커질 것을 우려해 안정에 대한 시 주석의 열망은 어느 때보다 크다는 분석이다.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