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전병호목사의 교회이야기

1004와의 만남


발언권 약한 말단 그룹 이탈은 조직 건강 이상 징후
"신입에 일 몰아주기, 부조리에 질려 2년만에 퇴직"

지난해 1만 명을 돌파한 재직기간 5년 미만 퇴직 공무원 10명 중 9명이 8ㆍ9급으로 나타났다. 발언권이 가장 약한 말단 그룹의 이탈은 조직 건강성 측면에서 이상 징후로 해석될 수밖에 없다. 여기에 윤석열 정부는 공무원 정원 축소 및 임금 동결까지 추진하고 있어 청년층의 공직 탈출 움직임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주목된다.

21일 인사혁신처에 따르면, 재직기간 5년이 안 되는 공무원 퇴직자는 2017년 5,181명에서 지난해 1만693명으로 두 배나 급증했다. 이 중 임기제ㆍ별정직 및 당연퇴직자 등을 제외한 자발적 퇴직자는 4,342명이었고, 여기서 다시 경찰, 소방공무원 등 일반직과 직급 체계가 다른 직종을 뺀 퇴직자는 2,348명으로 집계됐다.

공무원연금공단 자료를 토대로 이들을 직급별로 분류해보니 9급이 1,483명(63%)으로 가장 많았고, 8급 600명, 7급 210명 순으로 조사됐다. 8ㆍ9급 퇴직자가 전체의 89%를 차지한 셈이다. 인사처 관계자는 “연령대별로도 20ㆍ30대 퇴직자가 80%를 넘는다”며 “평생직장 개념이 희박해지고 직업 간 이동이 활발해지면서 나타난 현상”이라고 분석했다.

그러나 시대적 추세라는 정부 설명과 달리 민간 인사전문가들은 공직사회 전반에 변화를 촉구하는 신호로 해석하고 있다. 한 전문가는 “말단 그룹의 대거 이탈은 공직사회의 근무 조건과 직장 문화가 시대 흐름을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는 뜻”이라며 “국가경쟁력 제고를 위해서라도 기존의 경직된 문화와 제도를 걷어내야 한다”고 지적했다. 최근 서울 한 자치구에서 2년 만에 퇴직한 김모(29)씨는 “신입이라는 이유로 업무를 몰아주고, 일이 잘못되면 저연차 직원을 탓하는 분위기 속에서 많은 부조리를 느꼈다”면서 “이런 문화가 없는 공기업으로 옮겼다”고 말했다.

후략


ㅊㅊ
http://news.v.daum.net/v/20220822100004979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