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전병호목사의 교회이야기

1004와의 만남



http://n.news.naver.com/mnews/article/123/0002281451?sid=104


젤렌스키 "러, 약속 지킬 생각 없어"...국제사회도 일제히 규탄


러시아가 우크라이나 흑해의 핵심 항구인 오데사항에 23일(현지시간) 미사일 공격을 감행했다. 전날 우크라이나의 곡물을 흑해로 수출하기 위한 우크라이나와 러시아, 유엔, 튀르키예(터키)의 4자 협상이 타결된 지 하루 만이다.

우크라이나 남부군 사령부 대변인 이날 "러시아군이 칼리브르 순항미사일 2발이 오데사 항구에 명중했고 다른 2발은 우크라 방공망에 격추됐다"고 텔레그램을 통해 밝혔다. 구체적인 사상자 발생 여부나 항구의 피해 상황은 공개되지 않았다.

오데사 지역 하원의원인 올렉시 혼차렌코도 자신의 텔레그램을 통해 "오데사 항구 주변에서 6번의 폭발이 있었고 항구에 불이 났다"고 상황을 전했다. 이어 "전투기가 공중전을 벌이고 있으니 대피를 해야 한다"고 주민들에게 알렸다.

앞서 우크라이나와 러시아, 유엔, 튀르키예가 서명한 흑해를 통한 곡물 수출 협상안에는 튀르키예가 합의 이행 여부를 감시한다는 조항만 있을 뿐 러시아가 이를 어기고 공격을 재개할 경우 이를 제재할 수 있는 수단이 담겨 있지 않았다.

이에 따라 러시아의 오데사 공격으로 곡물 수출 합의 자체가 무산되는 게 아니냐는 우려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당장 이날 착수하기로 한 협상 4자간 공동 조정센터 설립 작업부터 제대로 진행될지가 불투명하다는 관측이 나온다.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대통령은 텔레그램 영상 연설에서 "(오데사항을 미사일로 타격한 건) 러시아가 어떤 말과 약속을 하든 실행할 의지가 없다는 사실을 입증한다"고 반발했다.

올렉 니콜렌코 우크라이나 외무부 대변인은 "러시아가 합의 후 항구를 공격하기까지 24시간도 채 걸리지 않았다"면서 "약속을 깬 러시아는 전 세계 식량 위기에 대한 책임을 져야 한다"고 입장을 밝혔다.

다만 우크라이나 올렉산드르 쿠브라코프 인프라부 장관은 페이스북을 통해 "러시아의 도발에도 항만에서 곡물 수출을 시작하기 위한 기술적 준비를 계속하겠다"고 밝혔다.

합의에 참여했던 유엔 역시 비판에 동참했다. 안토니우 구테흐스 유엔 사무총장은 이날 대변인을 통해 성명을 내고 "(이번 공습을) 분명히 규탄한다"며 "식량난에 처한 전 세계 수백만 명의 사람들의 고통을 덜어주려면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터키의 완전한 약속 이행이 필수적"이라고 밝혔다.

브리짓 브링크 주 우크라이나 미국 대사는 "충격적인 공격"이라며 "러시아는 식량을 무기로 삼는 일을 계속하고 있으며 반드시 책임을 져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한편 지난 2월 24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은 우크라이나 침공을 명령한 뒤 러 해군이 우크라이나 흑해 항로를 틀어막고 항구와 항만 곡물 저장시설에 미사일 공격을 감행해왔다.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