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전병호목사의 교회이야기

1004와의 만남


친구·애인 함께 사는 비친족가구 47만으로 늘어
1·2인 가구 늘고 4인 이상 줄어 평균 가구원 2.29명
주택 수 1.5% 증가 그쳐..가구 증가에 못 미쳐 주택난 심화


(세종=연합뉴스) 박용주 곽민서 기자 = 지난해 1인 가구가 처음으로 700만명을 돌파했다.

친구나 애인 등 가족이 아닌 사람들과 함께 사는 비(非)친족 가구도 역대 최대 수준으로 늘었다.

급격한 고령화의 여파로 혼자 사는 노인 수는 182만명으로 불어났다.


친족가구 줄고 1인 가구 7.9%↑·비친족가구 11.6%↑

통계청은 이런 내용 등을 담은 2021년 인구주택총조사 결과를 28일 발표했다.

지난해 국내 총가구는 2천202만3천 가구로, 작년 대비 53만8천가구(2.5%) 증가했다. 인구가 줄어드는 가운데에도 가구가 분화하면서 가구 수는 오히려 늘었다.

가구별로 보면 1인 가구가 716만6천 가구로 1년 전보다 52만2천 가구(7.9%) 증가했다.

1인 가구가 700만명을 돌파한 것은 관련 통계 집계가 시작된 1980년 이후 처음이다. 1인 가구가 전체 가구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33.4%까지 올라갔다. 세집 걸러 한집이 1인 가구인 셈이다.

2인 가구도 607만7천으로 600만을 처음으로 넘어섰다. 4인 이상 가구 수는 403만6천으로 3인 가구(417만)보다 작아졌다.

평균 가구원 수는 5년 만에 2.51명에서 2.29명으로 0.22명 감소했다.

친구·애인 등이 함께 거주하는 비친족가구도 47만3천가구로 4만9천 가구(11.6%) 증가했다.

반면 가족이 같이 사는 친족 가구(1천381만 가구)는 1년 전보다 0.4% 감소했다.

친족 가구 비중은 2016년(70.7%)까지만 해도 70%를 웃돌았으나, 1인 가구와 비친족가구가 늘면서 지난해에는 비중이 64.4%까지 떨어졌다.

http://news.v.daum.net/v/20220728141749434

위로